반응형

레미콘 2

IMF보다 심각한 건축자재 업계 현황

현재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며 레미콘과 시멘트 등 후방 산업이 크게 휘청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내수 산업인 시멘트는 수요 자체가 줄면서 일부 생산라인 가동이 중단되었고, 레미콘 공장 가동률은 역대 최저인 17%를 기록했다.   올해 법정관리를 신청한 건설사의 수가 급증하면서 건설업 위기로 이어졌다. 이는 레미콘, 시멘트 업계에서도 "IMF 때  보다 심각한 상황"이라며 경영 악화를 우려하고 있다. 26일 한국레미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에 따르면 레미콘 생산량은 건설 경기 침체가 본격적으로 시작한 2022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며, 레미콘 연간 생산량은 23년 1억 3583만 세제곱미터에서 2024년 1억 1200 세제곱 미터로 줄었다. 이는 2023년 21.4%에서 2024년 17.4%로 떨어진 것을 의..

'건설경기 침체'의 장기 _ 철강사 및 시멘트 등 후방 산업도 비

건설업계는 인건비 상승 등에 따른 공사비 급등과 더불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태의 여파가 아직 이어지고 있다. 예정된 착공 물량은 계속 밀리고, 일부 현장은 멈춰서기도 하면서 불안이 지속되고 있다. 또한 국토교통부 주택 통계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7월까지 누적 인허가 주택은 17만 1677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22.8% 감소했다. 이처럼 건설경기 회복이 더뎌지면서 국내 철강사뿐만 아니라 시멘트와 레이콘 등 후방 산업도 함께 연쇄 위기를 겪고 있다. 특히 철강사의 경우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영업이익 80% 가까이 감소하면서 실적 관리에 빨간불이 켜졌다. 현대제철은 25일 잠정 실적발표에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동기 대비 77.4%(465억원) 감소한 515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