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건축 이슈_Explain

초고령화 시대와 시니어 레지던스 규제 완화

호 량 이 2024. 7. 23. 21:52
반응형

 정부가 다양한 유형의 시니어 레지던스 공급을 위해 실버타운을 건설할 때 토지, 건물을 소유해야 하는 규제를 완화하여 민간부문 공급을 촉진하기로 발표했다. 이는 고령인구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시니어 레지던스'를 다양한 형태로 늘려 수요를 맞추겠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7월 23일(화) 오전 8시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시니어 레지던스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올해 3월 민생토론회에서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3.21)]의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고령층 친화적인 주거공간과 가사, 건강, 여가 서비스가 결합된 시니어 레지던스 공급을 대폭 확대하기 위한 방안이다. 다양한 유형의 시니어 레지던스 공급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유형의 시니어 레지던스를 공급하기 위해 설립, 운영 규제부터 부지, 자금 등 공급 단계의 전반에 걸친 규제를 완화하고, 고령 수요자 맞춤형 지원을 확대하는 데 중점이 있다.

*시니어 레지던스 : 법상 개념은 아니지만, 고령자 복지주택(공공임대), 실버스테이(민간 임대), 실버타운(노인보기주택) 등 서비스가 제공되는 고령 친화적 주거공간을 의미.

 

 먼저, 민간 사업자의 시장 진입을 촉진시키기 위해 실버타운 설립시 토지, 건물 소유를 의무화하는 규제를 개선한다. 이를 통해 서비스 전문사업자가 토지, 건물 사용권을 기반으로 실버타운을 설립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한다. 더불어, 정부는 서비스 전문사업자 요건을 마련하고 지원 근거를 신설하여 서비스 전문사업자를 적극 육성할 계획이다.

 

 또한 신분양형 실버타운을 인구감소지역에 도입할 예정이다. 분양 이후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일정 비율 이상 임대형을 포함할 것을 의무화하고, 서비스 품질관리체계를 구축하는 내용의 운영 방안을 마련하여 노인복지법 개정시 포함할 예정이다.

 

 수요가 높은 도심지의 부지공급이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도심 내 유휴시설 및 유휴 국유지를 시니어 레지던스로 조성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한다. 시니어 레지던스 조성을 위한 건설자금에 주택도시기금 공공지원 민간 임대융자 지원을 검토하고, 지역활성화 투자펀드 지원대상에 분양형 실버타운을 포함할 예정이다. 중산층 고령자까지 고령자 복지주택 공급을 확대하고, 유주택 고령층도 입주가 가능한 실버스테이 시범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입주자 보호 및 선택권 보장을 위해 표준계약서와 품질인증제를 도입하고, 시설현황과 이용료 등에 대한 정보공개 시스템을 구축한다. 입주이후 이용료 확보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서울주택공사 등을 통해 기준시가 12억원 이하 주택을 매각하고 매각대금을 연금형으로 수령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한다.

 

 아울러, 실버타운 입주자들이 요양서비스가 필요해진 경우에도 다른 입주자의 생활권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입주유지가 가능한 기준을 마련한다. 자가 주택에 계속 거주하는 저소득 고령층 대상 주거급여(수선유지급여) 인상을 통해 주거개선을 지원한다.

 

 정부는 시니어 레지던스가 주택건설과 가사, 건강, 여가 서비스가 함께 유기적으로 결합된 다부처 사업임을 감안하여, 관계부처 전담반을 구축하고, 시니어 레지던스 활성화를 위한 특별법 제정을 추진한다. 또한, 신속한 사업지원을 위한 원스톱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한편, 현장 수요자 의견 수렴 등을 통해 추가 및 보완 대책을 지속적으로 마련해나갈 예정이다.

 

★ (보도자료) 240722 시니어 레지던스 활성화 방안 보도자료.hwpx
0.57MB

반응형